투자지침서

주식 투자 공부를 위한 블로그입니다.

  • 2025. 3. 21.

    by. vecchio.

    목차

      마법 공식의 실제 활용과 성공 사례

      조엘 그린블라트(Joel Greenblatt)의 **마법 공식(Magic Formula Investing)**은 PER(주가수익비율)과 ROIC(투하자본이익률)를 조합하여 우량주를 찾는 전략이다. 앞선 시리즈에서 마법 공식의 개념과 계산법, 장점과 한계 등을 살펴보았다면, 이번 글에서는 실제 마법 공식이 적용된 사례와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본다. 이 공식을 활용한 투자자들은 어떤 종목을 선택했고,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살펴보며 실전 투자에서의 활용 방법을 알아보자.


      1. 마법 공식이 적용된 실제 투자 사례

      1) 조엘 그린블라트의 펀드 성과

      조엘 그린블라트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 ‘Gotham Capital’이라는 헤지펀드를 운용하며 연평균 4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린블라트는 낮은 PER과 높은 ROIC를 가진 기업을 자동적으로 선정하는 마법 공식을 통해 우량주 포트폴리오를 구성했고, 이 전략이 장기적으로 매우 효과적임을 증명했다.

      핵심 투자 원칙

      • 저평가된 기업 중에서도 높은 ROIC를 기록하는 회사에 집중 투자
      •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 보유
      • 마법 공식의 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감정적 투자 배제

      2) 실제 미국 시장에서의 테스트 결과

      조엘 그린블라트는 그의 저서 *"The Little Book That Still Beats the Market"*에서 1951년부터 2003년까지의 미국 주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법 공식을 백테스트했다.

      • 마법 공식 포트폴리오의 연평균 수익률: 30.8%
      • S&P 500 지수의 연평균 수익률: 12.3%
        이 결과는 마법 공식이 시장 평균 대비 두 배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강력한 투자 전략임을 증명했다.

      3) 한국 시장에서의 적용 가능성

      국내에서도 마법 공식을 활용한 테스트가 진행되었으며, 일반적으로 10년 이상 장기 투자할 경우 시장 평균을 초과하는 성과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한국 시장은 미국 시장 대비 유동성이 적고, 특정 업종(반도체, 바이오, IT)의 변동성이 크므로 업종에 따른 조정이 필요하다.

      한국 시장 적용 시 고려할 점

      • KOSPI, KOSDAQ 상장 기업 중 마법 공식 적용이 유효한 업종 확인
      • 단기적인 정치·경제적 이슈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 투자 전략 유지
      • 중소형 성장주 중심으로 종목을 선정할 경우 변동성이 클 수 있음

      2. 마법 공식 기반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1) 최소 20~30개 종목으로 분산 투자

      마법 공식은 개별 기업의 특정 이벤트(회계 조작, CEO 리스크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충분한 종목 분산이 필요하다.

      • 권장 최소 종목 수: 20개 이상
      • 각 종목에 동일 비중으로 투자하여 리스크 분산
      • 정기적으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보유 종목 재조정) 실시

      포트폴리오 예시 (미국 시장 기준)

      • PER과 ROIC 기준 상위 20개 기업을 선정
      • IT, 금융, 소비재,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종목 선택
      • 매년 1~2회 리밸런싱하여 새로운 고ROIC 저PER 종목 추가

      2) 투자 주기를 고려한 리밸런싱

      마법 공식은 매년 한 번씩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1년 동안 보유 후 새로운 종목으로 교체
      • 2~3년 이상의 장기적인 관점으로 유지
      • 단기 변동성에 연연하지 않고 지속적인 투자 유지

      실전 전략

      • 매년 12월 혹은 회계연도 마감 후 새로운 종목 선정
      • 보유 중인 종목이 여전히 높은 ROIC와 낮은 PER을 유지하면 지속 보유
      • 리스크 요인이 커진 기업(예: ROIC 급감, 부채 증가)은 교체

      3. 마법 공식이 효과적인 시장과 한계점

      1) 마법 공식이 가장 잘 적용되는 시장

      마법 공식은 비효율성이 높은 시장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즉, 주가가 기업의 내재 가치보다 낮게 평가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 중소형 가치주 시장에서 높은 성과
      • 경기 순환주보다는 꾸준한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에 적합
      • 단기 트렌드보다 장기적인 재무 성과가 중요한 기업

      2) 마법 공식의 한계점

      PER과 ROIC가 낮은 이유를 반드시 분석해야 함

      • 단순히 숫자만 보고 투자하면 부채가 많거나 실적이 급감하는 기업에 투자할 가능성이 있음
        금융주, 원자재업종에는 적용이 어려움
      • 금융주는 ROIC 산출이 어렵고, 원자재 기업은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변동
        단기 변동성이 높을 수 있음
      • 1년 내내 성과가 좋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단기적으로 시장 변동에 의해 저조할 수도 있음

      마법 공식을 실전 투자에 적용하는 방법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 공식은 단순하지만 강력한 투자 전략이다. 높은 ROIC와 낮은 PER을 가진 기업을 선정하는 방식은 장기적으로 시장을 초과하는 수익을 거둘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모든 시장과 모든 종목에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산업별 특성을 고려하고 리스크를 감안한 종목 선정이 필요하다. 특히, 분산 투자와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장기적으로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법 공식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가치투자를 실천해보자.